21일 아침 출근길에 '해를 품은 달'을 실제로 볼 수 있을 전망이다.
한국천문연구원은 "21일 오전 6시 23분부터 8시 48분까지 우리나라 전역에서 부분일식을 관측할 수 있다"고 지난 15일 밝혔다.
천문연구원에 따르면 가장 많이 가려지는 최대 부분식 시각은 서울을 기준으로 7시 32분이며, 최대식분이 약 80%로 해의 대부분이 가려진다.
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었던 일식은 지난 2010년 1월 15일 부분일식이었으며 우리나라에서 관측이 가능한 다음 일식은 4년 후인 2016년 3월 9일이다.
 |
(사진=한국천문연구원 제공) |
이번 부분일식은 달이 해의 약 80% 정도를 가리는 일식으로 일본 남부지역과 북태평양, 그리고 미 서부 지역 일부에서는 금환일식으로 관측된다. 금환일식은 달이 공전 궤도 상 지구와의 거리에 의해 해의 전부가 가려지지 않고 테두리가 남아 금반지처럼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.
천문연구원은 "일식 관측을 위해 태양을 장시간 맨눈으로 보면 눈이 상할 위험이 있으니 태양 필터나 여러 겹의 짙은 색 셀로판지 등을 이용해 봐야 한다"며 "특수 필터를 사용하지 않은 망원경으로 태양을 보면 실명할 수 있다"고 주의를 당부했다.